전체 글 37

먹바퀴 Periplaneta fuliginosa

먹바퀴(Periplaneta fuliginosa)◎ 형태 체장 수컷 25.0mm, 암컷 25.0-30.0mm 내외. 체색은 대부분 흑갈색, 기름을 두른 듯한 광택이 있음. 집바퀴(일본바퀴)와 매우 유사하나 앞가슴등판이 매끈한 것이 특징. ​ ◎ 생태 알 → 약충 → 성충 단계의 불완전변태 과정을 통해 성장. 암컷은 난협(알집)을 은신처 주변의 벽 모서리나 틈새 등에 붙임. 부화한 약충은 6개월 동안 약 10회 정도의 탈피를 거쳐 성충으로 우화, 수명은 약 1년. 어둡고 고온 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지하실이나 하수관 틈에서 주로 발견됨. https://youtube.com/shorts/4H4p8fEfC7g?feature=share 이물분석동정 해충방제전문보연환경기술원 견적 및 기술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..

크리미안콩고출혈열

안녕하세요 보연환경기술원 입니다. 제1급 감염병인 크리미안콩고출혈열(CCHF, Crimean congo hemorrhagic fever)에 대한 내용입니다. 구분내용분류제1급 감염병병원체크리미안콩고출혈열바이러스감염원(병원소)▷ 매개: 진드기 ▷ 숙주: 소, 양, 돼지, 염소 등 다양한 동물전파경로▷ 감염된 진드기 물림 ▷ 감염된 숙주(동물)의 혈액, 조직에 접촉주요 증상 및 임상경과▷ 발열, 두통, 근육통, 구토, 설사 등 급성 발현 ▷ 전신 출혈, 증상 발생 2주째 사망 ▷ 생존 시 9~10일부터 회복예방▷ 효과적 백신 없음 ▷ 진드기 물림 주의 이물분석동정 해충방제전문보연환경기술원 견적 및 기술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아래 연락처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.↓↓↓클릭↓↓↓

잔이질바퀴 Periplaneta australasiae

잔이질바퀴(호주바퀴, Periplaneta australasiae) ◎ 형태 성충 체장 32.0~35.0mm, 앞가슴등판 중앙 흑색무늬가 이질바퀴에 비해 훨씬 선명하고 뚜렷함. 앞날개가두리 황색무늬가 큰 특징. ​ ◎ 생태 알 → 약충 → 성충 단계의 불완전변태. 난협(알집)은 은신처 근처 부착. 국내에 서식한다고 기록되어있으나, 관찰이 어려움. 어둡고 고온 다습한 환경을 선호(지하실, 정화조, 하수도 등) https://youtube.com/shorts/HzK0sIivsbM?feature=share https://youtube.com/shorts/ZmMT9kiLOwg?feature=share 이물분석동정 해충방제전문보연환경기술원 견적 및 기술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아래 연락처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...

라싸열

안녕하세요 보연환경기술원 입니다. 제1급 감염병인 라싸열(Lassa fever)에 대한 설명입니다. 구분내용분류제1급 감염병병원체Lassa virus(라싸 바이러스)감염원(병원소)설치류, 다유방쥐(Mastomys natalensis)전파경로▷ 설치류 분비물 직접 접촉, 분비물에 오염된 음식물 섭취, 에어로졸 노출 ▷ 설치류를 요리하여 섭취 ▷ 토양에 흡수된 설치류 분비물에 점막 또는 상처난 피부 노출 ▷ 설치류 분비물에 의해 오염된 토양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 흡입 ▷ 감염된 환자의 체액, 에어로졸 노출주요 증상 및 임상경과▷ 감염자 80% 무증상 또는 경증(일부 환자 중증) ▷ 감염 후 6~21일 사이 증상 발현, 생존시 8~10일 내에 호전 ▷ 비특이증상(전신무력감, 발열, 권태감 등..

마버그열

안녕하세요. 보연환경기술원 입니다. 이번에는 마버그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구분내용분류제1급 감염병병원체마버그 바이러스(Marburg virus)감염원(병원소)감염된 과일박쥐 또는 동물, 환자전파경로▷ 감염된 과일박쥐 또는 동물과 직접 접촉(배설물 접촉 포함) ▷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혈액, 체액에 직접 접촉(에어로졸 노출 포함) ▷ 사람 간 호흡기 매개 전파 여부는 불분명주요 증상 및 임상 경과▷ 감염 1~5일: 발열, 두통, 오한 등으로 시작하여 몸에 반구진성 발진(흉통, 복통, 설사 등이 동반) ▷ 중증 진행: 호흡 곤란, 중추신경계 증상 동반, 다량 출혈 및 다발성 장기 부전 발생예방▷ 상용화된 예방 백신 없음 ▷ 일반적 예방수칙 준수 ▷ 유행지역 여행 금지(여행 시 감염 주의) ▷ 감염..

이질바퀴 미국바퀴 Periplaneta Americana

이질바퀴(미국바퀴, Periplaneta Americana) ◎ 형태 성충 크기 약 35.0~40.0mm. 국내에 서식하는 바퀴 중 가장 대형. 학명에 따라 ‘미국바퀴’ 라고도 함. 몸색은 대부분 광택이 있는 적갈색이며 앞가슴등면 가장자리에 황색테두리가 가장 큰 특징. ​ ◎ 생태 알 → 약충 → 성충 단계를 거치는 불완전변태. 생육최적온도는 약 28.0℃ 이며 수명은 대략 1년 내외로 알려져 있지만, 최적의 환경에서는 2-3년까지도 생존한 기록이 있음. 어둡고 고온 다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지하실, 정화조, 하수도 등에서 주로 발견. https://youtube.com/shorts/HzK0sIivsbM?feature=share https://youtube.com/shorts/xKrousuGYvg?feat..

에볼라바이러스

안녕하세요 보연환경기술원 입니다. 제1급 감염병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입니다. 구분내용분류제1급 감염병병원체Ebola virus(에볼라 바이러스)감염원(병원소)과일박쥐전파경로▷ 동물 → 사람- 감염병 유행지역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과일박쥐, 원숭이, 고릴라, 침팬지, 호저, 영양 등의 동물과 직접적으로 접촉▷ 사람 → 사람 - 에볼라 바이러스 환자의 혈액 또는 체액이 상처난 피부나 점막에 접촉 - 에볼라 바이러스에서 회복한 환자와 성접촉 - 산모의 양수, 모유 등을 통한 수직 감염 - 에어로졸에 의한 전파주요 증상 및 임상경과▷ 발병 초기 발열, 식욕부진, 무력감, 허약감 등과 같은 비특이적 증상 발현 ▷ 구토, 설사, 복통과 같은 위장관 증상 동반 가능 ▷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, 간효소 ..

제1급 법정감염병

안녕하세요 보연환경기술원 입니다. 오늘은 제1급 법정감염병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법정감염병은 제1급 ~ 제4급까지 분류되어 있으며 모두 합치면 총 89종 입니다. 제1급 감염병에는 17종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감염병들이 해당됩니다. 다음 시간부터는 에볼라바이러스를 시작으로 각각의 감염병을 하나하나 자세히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이물분석동정 해충방제전문보연환경기술원 견적 및 기술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아래 연락처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.↓↓↓클릭↓↓↓

감염병의 전파양식 법정감염병 분류체계

안녕하세요! 보연환경기술원 입니다. 이번에는 감염병의 전파양식 그리고 법정감염병 분류체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감염병의 전파양식접촉전파: 환자 또는 물체와 직·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병원체가 전파되는 방식 ① 직접 접촉: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통한 감염 ② 간접 접촉: 환자가 사용하였거나 접촉한 기구, 물체 등을 통한 감염비말전파: 대화, 기침 등으로 발생하는 비말(크기 약 5㎛ 이상)을 통해 병원체가 전파되는 방식공기전파: 공기 중의 미세한 입자(크기 약 5㎛ 이하)를 통해 병원체가 전파되는 방식매개체 전파:동물, 곤충(모기, 벼룩) 등의 매개체를 통해 병원체가 전파되는 방식2. 법정감염병분류체계 개요- 2020년 1월 1일, 법정 감염병의 분류체계는 심각도, 전파력, 격리 ..

감염병 정의 발생원인 및 과정

안녕하세요 보연환경기술원 입니다. 이번에는 감염병에 대한 정의, 그리고 발생원인 및 발생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감염병(infectious disease)이란 무엇일까? 감염병을 알기 위해서는 '감염'의 정의에 대해 먼저 알아보아야 하겠습니다.감염(infection) : 병원체(세균, 바이러스, 진균, 기생충 등)가 숙주 내로 침입하여 증식하는 상태를 의미즉 어떠한 병원체가 사람이나 동물 등과 같은 숙주 내에 침입을 하게 되고 침입을 한 병원체가 숙주 내에서 점점 증식하는 것을 우리는 감염이라 말합니다. 그렇다면 감염병, 전염병, 신종전염병 이런 것은 또 무엇을 의미할까요? 바로 아래와 같습니다.감염병(infectious disease) : 병원체가 숙주 내로 침입하여 질병을 발생시키는 것전염병..